2025 전기차 지원금 총정리 (휘발유차 폐차 200만원 혜택)

2025년부터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라면 ‘전환 지원금’이라는 새로운 혜택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존 내연차를 폐차하거나 판매한 뒤 전기차를 구매하는 경우, 기존 보조금 외에 추가로 최대 200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전기차 전환 지원금의 조건과 금액, 기존 보조금과의 차이점, 신청 방법까지 핵심 정보를 정리합니다. 내 차를 전기차로 바꾸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도 함께 담았습니다.

1. 전환 지원금이란 무엇인가?

‘전환 지원금’은 2025년 6월 정부가 추경을 통해 도입을 추진한 새로운 전기차 구매 지원 제도입니다. 내연기관 차량을 폐차하거나 판매한 후 일정 기간 내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기존의 국고+지자체 보조금 외에 최대 200만 원의 추가 금액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기존 보조금 축소로 인한 구매 부담을 줄이고, 내연차를 실제로 줄이려는 정책 방향을 반영한 제도입니다.

2. 기존 전기차 보조금과의 차이점은?

  • 전기차 보조금: 차량 가격, 주행거리, 배터리 안전 기능 등 성능 기반으로 국고 및 지자체가 지원
  • 전환 지원금: 내연차를 처분한 사람에게 추가로 지원하는 인센티브

즉, 전환 지원금은 기존 보조금과 중복 수령이 가능하며, 최대 지원액을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작동합니다.

3. 전기차 보조금 체계 요약 (2025년 기준)

항목2025년 변경 내용
국고 보조금 전액 지급 기준차량가 5,300만 원 이하
부분 지원5,300만 ~ 8,500만 원 (보조금 50%)
주행거리 기준중·대형 기준 최소 500km 요구
청년/다자녀 추가 지원청년은 보조금 +20%, 다자녀 최대 300만 원
전환 지원금최대 200만 원 (신설)

4. 어떤 경우에 전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나?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1. 기존 내연차(휘발유·경유)를 폐차하거나 중고로 판매할 것
  2. 차량 처분 후 일정 기간 내 전기차 신규 구매 계약 체결
  3. 차량 등록 후 신청 기간 내 관련 서류 제출

정확한 시행 시기와 세부 조건은 국회 추경 통과 이후 지자체별 공고에서 확정됩니다.

5. 실제 사례로 본 예상 지원금 시뮬레이션

예: 1995년식 경유차 폐차 + 전기차(4,900만 원) 구매 + 청년 + 다자녀(2명)

  • 국고 보조금: 680만 원
  • 지자체 보조금: 300만 원
  • 청년 추가: 136만 원 (국고의 20%)
  • 다자녀: 100만 원
  • 전환 지원금: 200만 원

총 지원액: 약 1,416만 원 (지자체별 차이 있음)

👉중고 전기차 살 때, 배터리 확인하고 구매하는 법

6. 신청 전 확인할 3가지 체크리스트

  1. 지자체별 공고 일정: 지원금 조기 소진 여부 확인
  2. 폐차/판매일과 계약일 간 간격: 유효 기간 체크 필수
  3. 전기차 제조사 보조금 대상 여부: 국고 지원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인지 확인

7. 다음으로 확인할 정보

전환 지원금까지 고려했을 때, 이제 중요한 건 지자체별 보조금 차이입니다. 어떤 지역은 400만 원 이상, 어떤 곳은 200만 원 이하일 수도 있기 때문에, ‘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 정리’도 꼭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