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최저임금 기준 알바 월급표 | 주휴수당 포함 실수령액 확인

2026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아르바이트 근로자라면 시급뿐만 아니라 주휴수당과 4대 보험 공제를 고려한 실수령액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 주휴수당이 법적으로 보장되므로, 월급 계산 시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6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주휴수당이 포함된 알바 월급표와, 4대 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까지 정리해드립니다.

2026년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기본 정보

  • 시간당 최저임금: 10,320원
  • 적용 기간: 2026년 1월 1일 ~ 12월 31일
  • 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 15시간 이상 근무 + 개근
  • 월 환산 기준: 1개월 평균 4.345주

주휴수당 포함 월급 계산법

  • 주휴수당 시간 = 주간 근무시간 ÷ 5일
  • 주급(주휴 포함) = (주간 근무시간 + 주휴수당 시간) × 시급
  • 월급(주휴 포함) = 주급 × 4.345

2026 알바 월급표 (주휴수당 포함·세전 기준)

주 근무시간주휴수당 시간세전 월급
15시간3시간807,000원
20시간4시간1,076,000원
30시간6시간1,615,000원
40시간8시간2,155,000원

4대 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

주 20시간 이상 근무 시 대부분 4대 보험 가입이 적용됩니다. 공제율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4.5%
  • 건강보험: 3.5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95%
  • 고용보험: 0.9%

이를 합하면 월급의 약 9~10% 정도가 공제됩니다.

주 근무시간세전 월급예상 공제액실수령액
15시간807,000원약 74,000원733,000원
20시간1,076,000원약 100,000원976,000원
30시간1,615,000원약 150,000원1,465,000원
40시간2,155,000원약 218,000원1,937,000원

※ 공제액은 개인의 보험료율, 가족 수, 근무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알바 근로자가 꼭 알아야 할 급여 체크리스트

  • 주 15시간 이상이면 주휴수당이 반드시 지급되어야 합니다.
  • 계약서에 시급, 근무시간, 주휴수당 포함 여부를 명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 4대 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실수령액 차이가 큽니다.
  • 공제 후 실수령액을 미리 계산해 급여 적정성을 판단하세요.

정리

2026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주휴수당이 포함되면 월급이 높아지지만, 4대 보험 공제를 고려해야 실제 수령액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근무계약을 체결하기 전, 예상 월급과 실수령액을 미리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